Get it on Google Play


Wm뮤 :: '이 세계의 법칙' 카테고리의 글 목록

블로그 이미지
가끔 그림그리거나 3D모델링하거나
취미로 로봇만드는
전자과 게임프로그래머 (퇴사함)
2022.3.22f1 주로 사용
모카쨩
@Ahzkwid

Recent Comment

Archive


2025. 3. 21. 05:41 이 세계의 법칙

 

 

 

광속에 가까워질수록 시간이 느려지는것은 누구나 알것이다

그런데 얼마나 느려지는지는 모를것이다 선형적으로? 아니면 비선형적으로?

 

그래서 계산하는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시간지연 공식은 아래와 같다

 

이런 띠바!! 뭔말이야 이게!

 

u는 뭐고 c는 뭐고 t랑 t'차이가 뭔데!!



과학자들은 유식해보이기 위해 어렵게 말하는걸 좋아한다.

옛날엔 서민들은 배울 기회가 없던 잘사는 사람들만의 학문이였으니 그럴만도 하다.

혹여 서민들이 배우기라도 하면 큰일이니까

 

참고로 이 시간지연 공식은 정말 단순한것이다

 

t: 기준계에서 관측한 시간
t′: 탑승자 기준에서 측정한 시간

u: 속도
c: 광속

 

대강 뜻은 이렇고 우주에서는 광속이 기준속도이므로 1로 정규화하여 간단하게 치환할수 있다

그래서

이렇게 줄일수 있고 우리는 1의 시간동안 얼마나 반환되는지가 알고싶은것이므로

 

이렇게 줄일수 있다.

 

좀 더 알기 쉽게 속도를 x로 하고 시간흐름을 y로 하겠다

 

그리고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이렇게 원을 잘라낸듯한 그래프가 나온다

 

당연하다 이 그래프는 원의 방정식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위와같이 정리된다

 

즉 그냥 간단한 원의 방정식을 이리저리 말 어렵게 붙여가며 설명하는것이다

위의 공식에 따라 

 

0.5광속일때 13.4%의 시간지연이 생기고

0.8광속일때 40%의 시간지연이 생긴다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속도(광속) 시간지연
0 0
0.1 0.01
0.2 0.02
0.3 0.04
0.4 0.08
0.5 0.13
0.6 0.2
0.7 0.29
0.8 0.4
0.9 0.56
0.95 0.68
0.99 0.85
0.999 0.95
0.9999 0.98
1 1

 

 

자 이제 위 표를 이용하여 광속의 99.9%의 속도로 4광년 떨어진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간다고 쳐보자

시간지연이 0.95 발생했으므로 1-0.95인 0.05를 4년에 곱해주면 2달이 나온다

 

 

즉 0.999c의 아광속으로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고작 2달이면 갈수 있다

 

그리고 시간지연이 일어났다는 말은 공간이 수축한것으로 볼수있다.

왜냐하면 동등한 시간동안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냥 그렇게 보인다는 소리가 아니고 실제로 공간이 수축하여 강력한 중력을 만들며

공전하게 되면 지속적인 중력파를 만들어내고 중력파 검출기가 이것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공간수축을 계산하는데에도 쓸 수 있다.

 

 

 

 

posted by 모카쨩
2025. 3. 16. 21:52 이 세계의 법칙

 

 

 

https://wmmu.tistory.com/entry/%ED%82%A4%EC%99%80-%ED%8F%89%EA%B7%A0%EC%88%98%EB%AA%85%EC%9D%98-%EC%83%81%EA%B4%80%EA%B4%80%EA%B3%84

 

키와 평균수명의 상관관계

https://wmmu.tistory.com/entry/%EB%85%B8%EC%B2%98%EB%85%80%EA%B0%80-%ED%8F%89%EA%B7%A0%EC%88%98%EB%AA%85%EC%9D%84-%EB%8A%98%EB%A6%B0%EB%8B%A4 늦은 결혼이 평균수명을 늘린다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ecology_evolution/855387.html

wmmu.tistory.com

 

 

저번 결과에서 키가 클수록 수명이 짧다는걸 알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체중은 어떨까?

일반적으로 비만의 수명이 짧다는건 알것이다

그렇다면 체중이 적을수록 길지 않을까?

 

 

 

 

 

 

 

https://www.newsp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52

 

 

 

 

 

 

 

 

 

 

 

 

 

 

 

 

 

 

 

 

posted by 모카쨩
2025. 3. 1. 13:09 이 세계의 법칙

 

GN-z11

 

초기 은하는 324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심지어 무척 작다

우리은하의 1/20밖에 되질 않기 때문이다

아무리 인류의 기술이 발달했다지만

어떻게 이런 작은 은하를 발견할수 있었을까?

 

https://www.porosjakarta.com/hiburan/064761879/terungkap-rahasia-asal-mula-dan-evolusi-alam-semesta-fakta-mencengangkan-dari-kosmologi-modern

 

 

우주는 팽창하기 때문이다

즉 당시 우주크기는 작았으며

우주크기에 비하면 오히려 우리 은하보다 50배나 크다

 

때문에 가장 먼 은하인 GN-z11은 324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고 크기가 4000광년밖에 되지 않음에도

겉보기 크기는 0.6"나 된다

참고로 우리가 흔히 쓰는 360도(Degrees)로 환산하면 0.000167도가 된다

매우 작은 크기이긴 하지만 인류의 기술력으로 못 볼 정도는 아니며 덕분에 초기우주의 모습도 관찰 가능한것이다

 

 

 

 

 

 

 

 

 

 

 

 

 

 

 

 

 

 

posted by 모카쨩
2025. 2. 5. 19:07 이 세계의 법칙

 

 

징병제의 숨겨진 장점

 

인간 수명이 6년 늘어난다

 

그러니까 군대를 겨우 2년 갔다올뿐인데 6년이나 늘어남으로서 4년 연장된 효과를 얻는것이다

 

이것이 왜 이렇게 되는가 하면 아래 자료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https://wmmu.tistory.com/entry/%EB%85%B8%EC%B2%98%EB%85%80%EA%B0%80-%ED%8F%89%EA%B7%A0%EC%88%98%EB%AA%85%EC%9D%84-%EB%8A%98%EB%A6%B0%EB%8B%A4

 

늦은 결혼이 평균수명을 늘린다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ecology_evolution/855387.html   얼마전에 외할머니를 이별하고 왔다 그래서 많은 생각을 하던도중 왜 이 때 죽는가이다 사람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레 미래에는

wmmu.tistory.com

 

 

요약하면 군대를 2년 갔다오면 초혼연령이 2년 늦춰지고 평균수명은 그의 3배인 6년이 늘어난다

 

모병제는 이 효과를 얻을수 없다. 왜냐하면 군대를 갔다온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에서 차별이 생겨 초혼연령 지연을 얻을수 없기 때문이다.

 

오로지 모두가 2년 지연되는 징병제만 가져올수 있다.

 

 

 

이처럼 강한 이득을 지녔기에 통일이 되더라도 징병제를 유지해야 할것이다.

 

몰론 유전적 효과기에 후손들에게만 적용될뿐 현재의 우리는 연장효과가 없으나 선대들이 징병제를 유지했기 때문에 우리는 이미 혜택을 받은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났다.

 

 

 

 

 

 

 

posted by 모카쨩
2025. 1. 28. 10:32 이 세계의 법칙

 

 

방열속도는 아래 요소들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k 열전도율

A 공기와의 접촉면적

h 대류

 

온도차나 복사열등 다른 요소들도 있지만 여기서는 무시하겠다

 

 

다들 한번쯤 생각해봤을것이다

 

 

열전도율은 구리가 더 좋은데 왜 구리로 된 방열판은 없을까?

 

그 답은 바로 부식속도와 가격에 있다.

1. 구리는 부식속도가 빠르다.

구리는 부식속도가 너무 빠르다.

회로작업을 하다보면 가끔 피복을 벗겨놓고 잊어버린 전선이 많이 생기는데 고작 1년만 지나도

녹이 잔뜩 생길뿐아니라 귀찮다고 단자작업 패스하고 커넥터에 직결시키면 녹때문에 접촉불량이 쉽게 발생한다.

일반적인 경우에도 이럴진데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의도적으로 늘려놓고 팬을 이용해 대류를 늘린 방열판의 경우 얼마나 빨리 부식될지는 말 안해도 될것이다.

심지어 알루미늄 방열판조차 시간이 오래 지나면 부식되어 흉해지고 성능이 떨어진다.

구리합금으로 산화를 방지하면 되는거아닌가 싶겠지만 아래의 표를 보면 생각이 달라질것이다.

금속 열전도율 (W/m/K)
구리 386
알루미늄 204
황동 (brass) 116
청동 (bronze) 26
양은 (Nickel Silver) 29

 

황동은 열전도율이 알루미늄의 절반밖에 되지 않으며 양은과 청동은 그냥 돌멩이 수준이다.
그렇다고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두께를 늘려 접촉면적을 줄이면 방열성능이 줄어든다.

이 때문에 구리는 코어나 히트파이프에만 사용되고 방열판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알루미늄 합금도 열전도율이 절반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순수알루미늄을 그대로 사용하며 간혹 알루미늄에 부식방지 페인트로 코팅하거나 도금하여 사용한다.

이 부식문제 때문에 접점부에도 금도금을 많이 사용한다. 램이나 이어폰 단자등에서 많이 본게 그런 이유이다.

 

 

 

2. 구리는 알루미늄보다 비싸다.

구리를 방열판으로 쓰는 방법이 전무한건 아니고 도금하여 사용하거나

유냉에 사용하거나 베릴륨동을 사용하면 알루미늄보다 더 좋은 성능의 방열판이 가능하다.

그런데 구리는 생각보다 비싼자원이다.

아래 표는 한 재활용 업체의 매입가격을 나타낸다.

금속
480
구리 10500
알루미늄 2300
황동 6000
양은 1500

 

구리는 알루미늄보다 5배 비싼것을 확인할수 있다

비싼 베릴륨동을 사용하더라도 알루미늄과 열전도율이 비슷하다보니 사용할 이유가 없다.
그나마 현실성 있는 부분이 도금 방열판으로 공간문제때문에 베이퍼 챔버도 쓰이니 도금방열판 또한 못 쓸것도 없다. 그런데 코어를 제외한 방열판부분은 열전도성보다 접촉면적이 더 중요하다보니 같은 비용으로 접촉면적을 5배 늘리면 전도율페널티가 상쇄되면서 오히려 알루미늄 방열판 성능이 더 좋아져 그돈씨가 절로 나온다. 그래서 도금방열판이라고 할지라도 알루미늄에 도금해서 사용하지 구리방열판에 도금하는 경우는 드물다. 게다가 고성능을 원하면 아무래도 라디에이터로 넘어가는데 이경우 정말로 구리가 설 자리가 없어진다. 열전도율이 아무리 좋아봐야 물리적으로 열을 이동시키는게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라디에이터는 플라스틱 배관이나 철배관등 내구성중시로 넘어간다.

 

 

위의 이유들로 인해 구리 방열판을 쓸 이유가 정말 드물다.

알루미늄 방열판을 쓰는것은 사람들이 멍청해서가 아니라 다 나름대로 이유가 있는것이다.

 

 

 

 

 

 

posted by 모카쨩
2025. 1. 24. 10:50 이 세계의 법칙

 

 

상대성이론에 의해 탑승자가 0초만에 은하중심으로 순식간에 좌표가 변경되더라도 지구로 돌아올때 5만년이 지나게 된다. 공간과 시간을 구분해서 생각하면 이해가 어려울수 있겠지만 공간과 시간은 동등한것이기 때문에 공간상 이동은 시간상으로도 이동을 한것이 되기 때문이다.

https://wmmu.tistory.com/entry/%EC%95%84%EA%B4%91%EC%86%8D-%EB%B9%84%ED%96%89%EC%97%90-%EA%B4%80%ED%95%98%EC%97%AC

 

아광속 비행에 관하여

아광속이란 빛의 속도에 근접한 속도이다 상대성이론으로 인해 광속을 넘을수 없다는것은 모두 잘 알것이다그런데 사람들은 이것을 잘못 해석하여워프기술이 있어야만 인간수명으로도 장거

wmmu.tistory.com

 

 

그래서 이 5만년이라는 시간지연까지 없앤다는 소리는 시간을 역행하는 기술이라고 하는것이다. 그런 지연을 없애는 기술이 생긴다면 굳이 현재시간으로 돌아올필요도 없이 빅뱅시초로 간다던가 우주끝으로 간다던가 하는 시간 여행이나 평행우주로의 이동을 할 수 있다는 소리가 된다. 즉 워프우주선과 타임머신은 단어만 다를뿐 같은것이다.

 

타임머신을 이용할경우 크게 두가지 도약방식이 있는데 과거로 이동한후에 3차원 이동한후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방식과 현재에서 이동한후 과거로 역행하는 방식이다. 전자의 경우 이동하면서 발생한 에너지로 인해 어떻게든 미래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제약이 걸리며 후자는 국부은하군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동후 역행을 반복해야만한다. 이 간격을 최소화 하여 그래프로 나타내면 로런츠변환과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걸 알수있다. 아인슈타인은 이러한 사고실험을 통해 과거로 역행하지 못한다는 제약을 걸어 로런츠변환을 유도해냈음을 유추할수 있다.

 

 

 

posted by 모카쨩
2025. 1. 15. 21:06 이 세계의 법칙

 

https://wmmu.tistory.com/entry/%EB%85%B8%EC%B2%98%EB%85%80%EA%B0%80-%ED%8F%89%EA%B7%A0%EC%88%98%EB%AA%85%EC%9D%84-%EB%8A%98%EB%A6%B0%EB%8B%A4

 

늦은 결혼이 평균수명을 늘린다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ecology_evolution/855387.html   얼마전에 외할머니를 이별하고 왔다 그래서 많은 생각을 하던도중 왜 이 때 죽는가이다 사람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레 미래에는

wmmu.tistory.com

 

 

이전글을 통해 평균수명이 유전자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것을 알아냈다

 

 

그런데 나는 한가지 추가적인 의문이 들었다

대형동물은 느린 신진대사로 평균수명이 길다는건 다들 알 것이다

 

이것은 인간에게도 동등하게 적용되지 않을까 하는것이다

 

키또한 유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것은 알것이다

 

만약 키또한 평균수명에 영향을 주었다면?

 

그래서 나는 ChatGPT에게 키와 수명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다

 

 

 

 

얼핏 키와 평균수명의 증가가 점차 둔화되는것이 상관관계가 있어보인다

하지만 2차분석결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음이 밝혀졌다

 

 

평균수명과 초혼연령의 비율은 0.33의 정확한 비율을 나타냈지만

평균수명과 키의 증가율은 일치하지 않았다

 

 

 

 

 

 

https://m.blog.naver.com/i-doctor/221229215140

 

키와 건강과 수명

키와 건강과 수명 세계적으로 그렇지만, 특히 한국은 경제성장에 따라 국민들의 신장이 점점 커지고 ...

blog.naver.com

 

이 글의 경우 동일한 환경하에서 큰 키가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는경우도 있음을 밝혀준다

 

뿐만아니라 강아지의 경우도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185945

 

대형견 vs 소형견, 수컷 vs 암컷…누가 더 오래 살까 [개st상식]

미국에서 반려동물 1500만 마리의 수명을 조사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1000만 마리가 넘는 동물의 수명을 추적한 단일 연구는 미국에서도 처음 있는 일인

www.kmib.co.kr

 

 

소형견이 더 오래산다는 결과가 있었다

개들은 유전적 차이가 1%로 적기때문에 크기가 수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직접적으로 알려준다

 

그렇다면 의문이 들것이다

어째서 대형동물은 오래 사는가

 

이것은 대형종일수록 오래 사는종이 사망률이 작았다로 인식할수 있겠다.

수명이 길면 동일기간동안 수집해야 하는 유기물이 더 적은것이 영향을 줬거나

암발생 확률등이 영향을 주었을것이다

 

 

 

 

 

결론적으로 키는 오히려 평균수명을 감소시키고

한국에서 평균키와 평균수명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

 

키를 증가시키면서 평균수명도 증가시키기위해

수명에 악영향을 주는 유전자가 더 빠른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posted by 모카쨩
2025. 1. 13. 03:49 이 세계의 법칙

 

 

 

모든 전기난로는 에너지 효율이 100%이다

 

아직도 전기난로에 효율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상인들이 옛날 전기난로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좋아졌다고 하거나 석영관이 에너지효율이 좋다는식으로 선동하는데 물건을 팔아먹기 위한 순 거짓말이다.

 

 

 

 

이런 잘못된 뉴스들이 버젓이 나돈다

 

 

 

 

꼭 난로가 아니더라도 에어프라이어, 인덕션, 전기오븐에

에너지 효율이 있다는 잘못된 정보가 나도는데 이것을 바로 잡아보고자 한다

 

 

 

 

 

먼저 전력량 W는 전압V와 전류I의 곱이다

 

W=VI

 

 

 

 

그리고 옴의법칙은 아래와 같다

 

V=IR

 

옴의법칙 에 의해 I는 전압과 저항에 직접적으로 영향받는다는것을 알수있다

 

따라서 V를 낮추면 R은 고정이므로 I가 내려간다.

이의 역또한 성립한다

 

위 두 수식을 결합하면 아래와 같다

 

V=√(W*R)

I=√(W/R)

 

 

줄의 법칙에 따르면, 전류 I가 저항 R을 가진 전기 회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열량P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I²R

 

 

그러므로 100옴에 500W를 투입한 전기난로의 전압과 전류는 

 

전압 223.6V  전류 2.236A가 되며 줄의법칙에 의해 열량은

 

2.236 * 2.236 * 100= 500P

 

가 되고 

 

200옴에 500W를 투입한 전기난로의 전압과 전류는 


전압 316.2V  전류 1.581A이 되며 줄의법칙에 의해 열량은


1.581 * 1.581 * 200 = 500P

 

즉 어떻게 만들던 투입한 열량 그대로를 만들어내는것을 알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P = I²R

 

이 줄의 법칙 수식에 옴의 법칙 수식을 대입하면

 

V=IR 이므로 

P = I²R

= I * (I * R)

= I * V

= V * I

= VI

 

즉 P = VI가 되며 VI는 W이므로

 

P=W

 

가 된다

 

즉 투입된 전력W는 전부 열에너지 P로 변환됨을 알수있다 

 

전기난로는 니크롬선같은 단순도체만으로 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운동에너지도 만들어내지 않으므로 위 법칙에 의해 전부 열에너지로 변환됨을 알수 있다.

 

 

 

그러므로 에너지효율 운운하는것은 상인들의 상술임을 알수있다

상인들의 상술에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여 소비해야할것이다

 

 

 

 

 

 

 

그렇다면 왜 전기난로가 요금폭탄이 나오는지 궁금해질것이다

그것과 관련된 이야기는 아래글에서 소개하고 있다

https://wmmu.tistory.com/entry/%EC%99%9C-%EC%A0%84%EA%B8%B0-%EC%97%B4%EB%A1%9C-%EB%B0%94%EA%BE%B8%EB%8A%94%EA%B1%B4-%EC%9A%94%EA%B8%88%ED%8F%AD%ED%83%84%EB%82%98%EC%98%AC%EA%B9%8C

 

왜 전기->열로 바꾸는건 요금폭탄나올까?

https://twitter.com/ahzkwid/status/1724202667294282118 화력발전소 송전단 열효율 38%에 송변전 손실 4% 감안하면 약 36.5%니까 단순계산으로 가스요금보다 2.74배 높아야 하니까 가스비 8만원 나오는 사람이면 2

wmmu.tistory.com

 

 

 

 

 

 

 

 

 

 

 

 

'이 세계의 법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와 평균수명의 상관관계  (0) 2025.01.15
종교란 무엇인가  (1) 2025.01.12
아광속 비행에 관하여  (0) 2025.01.03
posted by 모카쨩

저사양 유저용 블로그 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