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결혼이 평균수명을 늘린다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ecology_evolution/855387.html 얼마전에 외할머니를 이별하고 왔다 그래서 많은 생각을 하던도중 왜 이 때 죽는가이다 사람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레 미래에는
wmmu.tistory.com
이전글을 통해 평균수명이 유전자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것을 알아냈다
그런데 나는 한가지 추가적인 의문이 들었다
대형동물은 느린 신진대사로 평균수명이 길다는건 다들 알 것이다
이것은 인간에게도 동등하게 적용되지 않을까 하는것이다
키또한 유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것은 알것이다
만약 키또한 평균수명에 영향을 주었다면?
그래서 나는 ChatGPT에게 키와 수명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다
얼핏 키와 평균수명의 증가가 점차 둔화되는것이 상관관계가 있어보인다
하지만 2차분석결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음이 밝혀졌다
평균수명과 초혼연령의 비율은 0.33의 정확한 비율을 나타냈지만
평균수명과 키의 증가율은 일치하지 않았다
https://m.blog.naver.com/i-doctor/221229215140
키와 건강과 수명
키와 건강과 수명 세계적으로 그렇지만, 특히 한국은 경제성장에 따라 국민들의 신장이 점점 커지고 ...
blog.naver.com
이 글의 경우 동일한 환경하에서 큰 키가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는경우도 있음을 밝혀준다
뿐만아니라 강아지의 경우도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185945
대형견 vs 소형견, 수컷 vs 암컷…누가 더 오래 살까 [개st상식]
미국에서 반려동물 1500만 마리의 수명을 조사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1000만 마리가 넘는 동물의 수명을 추적한 단일 연구는 미국에서도 처음 있는 일인
www.kmib.co.kr
소형견이 더 오래산다는 결과가 있었다
개들은 유전적 차이가 1%로 적기때문에 크기가 수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직접적으로 알려준다
그렇다면 의문이 들것이다
어째서 대형동물은 오래 사는가
이것은 대형종일수록 오래 사는종이 사망률이 작았다로 인식할수 있겠다.
수명이 길면 동일기간동안 수집해야 하는 유기물이 더 적은것이 영향을 줬거나
암발생 확률등이 영향을 주었을것이다
결론적으로 키는 오히려 평균수명을 감소시키고
한국에서 평균키와 평균수명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
키를 증가시키면서 평균수명도 증가시키기위해
수명에 악영향을 주는 유전자가 더 빠른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이 세계의 법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프와 시간여행은 같은말이다 (0) | 2025.01.24 |
---|---|
모든 전기난로는 에너지 효율이 100%이다 (0) | 2025.01.13 |
종교란 무엇인가 (1)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