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it on Google Play


Wm뮤 :: 우주의 끝에 대하여

블로그 이미지
가끔 그림그리거나 3D모델링하거나
취미로 로봇만드는
전자과 게임프로그래머 (퇴사함)
2022.3.22f1 주로 사용
모카쨩
@Ahzkwid

Recent Comment

Archive


2022. 12. 17. 08:39 이 세계의 법칙

 

-우주가 하나의 입자이진 않을까?

 

우주에 끝이 있다면?

벽같은게 있을까?

벽이란 무엇인가 어떠한 척력으로 인해 이동을 봉쇄당하는것이다

우주의 끝에 가려 해도 미지의 팽창으로 인해  다가갈수 없다

전방위에서 척력이 작용하고 있다

마치 벽처럼 작용한다

하지만 벽과 다른점은 벽의 척력은 입자에서 발생하지만 팽창은 알수없는 에너지로 발생한다

 

 

 

 

 

 

 

-우주의 끝은 어떻게 생겼을까?

 

우주의 끝을 본다는 것은 우주의 시작을 본다는것과 같다

빅뱅의 그 순간

그러니까 우주 바깥쪽을 본다는것은 빅뱅이전을 본다는것과 같다

북극점보다 북극은 없다는 말이 있듯이 그것은 허수영역일것이다

 

 

 

 

 

 

 

-우주의 끝에 다가가는 방법

시간이 흐를수록 우주는 팽창해나간다

절대로 도달할수 없다

시간을 역행시킨다면 한점에 모이면서 끝에 도달할수 있을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것은 블랙홀과 거의 동일하다

사건의 지평선 내부는 시간역행공간이라고 할수있지 않을까?

몰론 빅뱅에 다가갈수록 초고온과 초고압축이 발생하므로 그 너머로는 갈 수 없을것이다

 

 

 

 

 

 

 

-사실 우주의 끝이란건 없다

우주의 끝은 조금밖에 시간이 흐르지 않은 곳이며

우주 너머는 아직 시간이 흐르지 않은 곳이다.

 

 

 

 

 

 

 

-공간은 곧 시간이다

우주가 넓어지는게 아니라 과거로부터 멀어지는것이다.

즉 공간은 시간이며 우리가 움직인다는것은 과거로 가는것이다.

하지만 우주는 시간역행을 허락하지 않는다.

가까워질수록 시간이 가속되며 멀어질수록 시간은 정지한다.

이는 아광속 여행에서 도드라지는 현상이다.

우리가 아광속으로 이동하게 될경우 이동방향의 행성은 급격하게 시간이 흐르게 된다.

반대로 지구는 시간이 정지한다.

우리가 있는곳이 시간과 공간의 중심이다.

 

아광속으로 이동하면 우주가 찌그러지면서 등방성이 깨지고 에너지가 만들어지는데 이 에너지로 더 가속하고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어낼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마치 엔트로피를 깨는것같지만

 

-우리가 이동하면 우주의 팽창속도는 가속한다

 

그래서 우린 국부은하군에서 벗어날수 없으며 에너지또한 무한이 아니게 되므로 엔트로피를 위반하지 않는다.

나는 그래서 생각했었다

우주 팽창은 단지 아광속상태에서의 엔트로피 위반을 막기위해 붙은 효과가 아닐까하고

 

 

-우주의 끝은 우주의 시작이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시간과 공간은 같은것이며 우주의 끝에 간다는것은 빅뱅당시로 간다는말과 같다.

즉 우주에 끝에 갈수 있다는것은 시간역행을 한다는것과도 같다.

시간과 공간이 같다는것은 조금 어려운 소리인데 이해하기 편하게 아래의 글에 정리해두었다

https://wmmu.tistory.com/entry/%EC%95%84%EA%B4%91%EC%86%8D-%EB%B9%84%ED%96%89%EC%97%90-%EA%B4%80%ED%95%98%EC%97%AC

 

아광속 비행에 관하여

아광속이란 빛의 속도에 근접한 속도이다 상대성이론으로 인해 광속을 넘을수 없다는것은 모두 잘 알것이다그런데 사람들은 이것을 잘못 해석하여워프기술이 있어야만 인간수명으로도 장거

wmmu.tistory.com

https://wmmu.tistory.com/entry/%EC%9B%8C%ED%94%84%EC%99%80-%EC%8B%9C%EA%B0%84%EC%97%AC%ED%96%89%EC%9D%80-%EA%B0%99%EC%9D%80%EB%A7%90%EC%9D%B4%EB%8B%A4

 

워프와 시간여행은 같은말이다

상대성이론에 의해 탑승자가 0초만에 은하중심으로 순식간에 좌표가 변경되더라도 지구로 돌아올때 5만년이 지나게 된다. 공간과 시간을 구분해서 생각하면 이해가 어려울수 있겠지만 공간과

wmmu.tistory.com

 

 

 

-우주의 끝은 하나의 점이다

우주의 끝은 현재 원의 둘레처럼 넓어진 상태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이것은 어디까지나 3차원의 현재에서 바라보는 우리들의 시각일뿐 4차원도 함께 본다면 전혀 다르게 보인다

스티븐 호킹은 이것에 대해 정말 멋진말을 내뱉었다

'북극점보다 북극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대입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현재는 남극에 대응되고 우주의 끝은 북극에 대응된다 

우리는 커져가는 우주의 풍선바깥에서 현재라고 하는 시작의 반대편에 서있을뿐이다

 

 

-우주는 다차원 도형이다

상대성 이론 덕분에 우주가 최소 4차원 이상의 다차원 도형이라는것은 확정되었으나 정확히 어떤 도형인지는 판별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우주의 정확한 역사와 팽창속도를 알아낼 필요가 있는데 근사값만 얻어낼수 있을뿐이라 들쭉날쭉하기 때문이다.

어떤 시대에서 관측하던 우주는 구의 형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4차원 도형인 '초구'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팽창속도를 고려하면 물방울 형태일수도 있고 과학자들이 열심히 찾고 있다.

'이 세계의 법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의 탄생  (0) 2022.12.19
외계인들에 대한 정보  (0) 2022.11.09
인생 중간결산 (1)  (0) 2022.02.07
posted by 모카쨩

저사양 유저용 블로그 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