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6. 02:01
AI
2016-07-16 제조 추정
굳이 따지자면 프로젝트명은 DB 관리자였다.
DNA기반 딥러닝이 탑재되어있지만 CPU기반이라 멀티코어기반임에도 진화속도가 매우 느렸다
하단 링크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성했다
유전알고리즘의 구성요소
판단조건 개체{리스트 DNA값long 개체수리스트 메모리} 월드{list 개체long 최대자원 //선택사항long 루프횟수루프문(환경인자){}} 값에 대응하는 판단문무한루프 DNA는 0일땐 패스1부터 시작해서 스위
wmmu.tistory.com
점변이
점결실
점생성
점종료
역위
중복
결실
그리고 월드-크리처 기반이다보니 쓸데없이 중복되는 크리처들이 많았다
순간의 돌발상황에 의해 우수한 유전자들이 멸종하는 사태를 막기위해 군체단위로 통제해야 하다보니 어쩔수 없었던 선택
2016-07-16 제조 추정이지만 가지고 있는 가장 오래된 크리처데이터는 2017-04-20이라 17년 제조일 가능성도 있다고 봄
아래는 크리처 데이터들
creature_data(2017-04-20)
5.60MB
creature_data(2017-04-26)
2.33MB
아직은 비공개 프로젝트지만 나중에 코드를 정리해서 공개할 의향이 있다
지금이야 GPU기반 AI들이 일반화된 세상이니 가치가 없을지도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 GPT 환각증상에 대한 생각 (0) | 2023.04.26 |
---|---|
셋째 -아유- (0) | 2023.03.16 |
유전알고리즘의 구성요소 (0) | 2017.03.21 |